미래에셋 TIGERETF

통합검색
통합검색 입력 폼
추천 키워드
ETF 상품명 또는
구성종목으로 검색해 보세요.
상품 검색 입력 폼
추천 키워드

2025.03.15 04:48기준

  1. 홈으로가기
  2. 투자정보
  3. ETF 인사이트
넥스트 엔비디아를 찾아서! 내 손안에 AI 시대가 온다! TIGER 글로벌 온디바이스 AI ETF 상장
2024.04.05

이 이미지는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의 출시 정보를 소개하고 있다. 2024년 4월 16일에 상장 예정인 이 ETF는 온디바이스AI 시대를 대비한 투자 상품이다. 버튼 하나로 AI가 즉각적으로 실행되는 온디바이스AI 시대를 겨냥하고 있으며, 온디바이스AI 구현에 필요한 반도체 설계와 제작, AI 모델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챗GPT가 쏘아올린 생성형AI 열풍이 2024년에도 뜨겁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AI 시장에서는 ‘온디바이스(On-Device)AI’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버튼 하나로 AI가 즉각적으로 실행되는 온디바이스AI를 통해 AI 대중화 시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TIGER ETF는 2024년 4월 16일 국내 최초로 온디바이스AI 기술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를 선보입니다. 바로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입니다.



AI is Everywhere, 온디바이스 AI 시대가 열린다   

온디바이스AI는 말 그대로 사용자의 기기(디바이스)에서 인공지능 연산이 바로 수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외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기기 안에서 실시간으로 연산을 처리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필요없어요. 한마디로 스마트폰이나 PC에 AI가 심어져 있는 거죠.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데 드는 전력이 엄청나고 인프라 비용도 많이 듭니다. 또 외부 서버를 사용하다 보니 네트워크 지연이나 정보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반면 온디바이스AI는 기기 자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응답 지연, 보안 문제, 전력 소모 등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나에게 특화된 AI를 통해 학습이나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실시간 의사결정이 필요한 자율주행, 통역 등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죠.
온디바이스AI는 앞으로 AI를 개인 비서처럼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로, 다양한 영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는 온디바이스AI의 개념과 장점을 설명하고 있다. 온디바이스AI는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바로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작동 과정은 AI 서비스를 실행하고, 디바이스 자체 AI 연산으로 답변이 산출되며, 이를 표시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온디바이스AI의 주요 장점으로는 정보 보호 및 개인화, 빠른 응답, 인터넷 연결 불필요 등이 있다. 정보 보호 측면에서는 개인정보가 서버로 전송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AI 서비스가 가능하다. 빠른 응답 측면에서는 기기에서 즉각 실행되어 편의성이 높고, 실시간 의사결정이 필요한 자율주행, 통역, 음성인식 등에서 유용하다. 인터넷 연결 불필요 측면에서는 AI에 대한 접근성이 중요한 영역에서 인터넷 연결 우려를 해결하고, 막대한 데이터센터 비용과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


TIGER 글로벌 온디바이스 AI ETF 상장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온디바이스AI’ 관련 산업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는 ETF입니다.  

기초지수인 Mirae Asset Global On-Device AI Index (Bloomber 티커: MAGODAIN Index)는 온디바이스AI 구현에 필요한 AI 연산장치의 설계 및 제작, AI모델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NPU를 설계하는 반도체 팹리스, IP 기업, 파운드리, 소형언어모델(sLLM) 제공 기업을 두루 포함합니다.

온디바이스AI가 개개인의 디바이스에서 제대로 구현되려면, 기존의 반도체 칩과 AI모델과는 달리 고도화되고 소형화된 반도체 칩과 AI모델이 필요한데요.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온디바이스AI 생태계에 포함된 차세대 AI 리더 종목을 선별해 투자하기 떄문에, 시장 성장의 수혜를 기대할 수 있어요.


이 이미지는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의 투자 포인트를 설명하고 있다. 기초지수는 Mirae Asset Global On-Device AI Index로, 온디바이스AI 구현에 필요한 AI 연산장치의 설계 및 제작, AI모델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지수이다. 주요 투자 포인트는 세 가지다. 첫째, 온디바이스AI 핵심은 추론 연산의 'NPU'로, AI 대중화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신경망 추론 연산에 특화된 NPU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온디바이스AI 생태계 내 차세대 AI 리더에 주목하며, AI모델을 제공하는 플랫폼, NPU 팹리스, 디바이스 제조까지 핵심 밸류체인 기업에 투자한다. 셋째, AI서비스를 통한 디바이스 혁명으로, 스마트폰, PC, TV, 자율주행차 등 모든 디바이스로 AI가 확산되면서 수요 증가 및 고도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한다.

투자 포인트 1. 온디바이스 AI 핵심은 추론 연산의 NPU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온디바이스AI의 핵심인 NPU(신경망처리장치)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합니다.

AI 연산은 AI모델을 만드는 과정인 ‘학습’ 연산과 학습이 완료된 ‘추론’ 연산으로 분류되는데요. 학습 연산의 경우 인공신경망 내부의 수백억 개의 값을 끊임없이 바꿔주는 연산이기 때문에 대량의 연산을 동시다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GPU가 필요합니다.

반면 추론 연산은 학습된 AI모델에 질문을 대입하면 답이 나오는 비교적 간단한 연산으로, 신경망 연산에 특화된 NPU만으로 충분합니다. 즉, 스마트폰이나 PC 등에 탑재된 NPU 반도체 칩으로 AI 서비스가 유지되는 거죠.

NPU는 GPU에서 AI 연산에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해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고 크기도 작아 효율적입니다. 앞으로 AI가 대중화되면 전 세계 반도체 수요의 80%가 추론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GPU 대표 기업이 엔비디아와 AMD라면, NPU 대표 기업으로는 퀄컴, 인텔, 애플, 미디어텍이 손꼽힙니다.


이 이미지는 온디바이스AI의 핵심인 NPU(Neural Processing Unit)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학습 연산의 GPU에서 추론 연산의 NPU로 대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GPU와 NPU의 특성을 비교하여 NPU가 온디바이스AI와 추론 연산에 특화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NPU는 소형화된 거대언어모델을 사용하고, 저비용, 저발열, 저전력의 특성을 가지며, AI연산에 특화되어 있다. 대표 기업으로는 Qualcomm, Intel, Apple, MediaTek 등이 있다. 또한, 2022년부터 2026년까지의 전 세계 AI반도체 수요 예측 그래프를 통해 추론용 AI반도체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전체 AI반도체 수요의 80% 이상이 추론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포인트 2.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내 차세대 AI 리더에 주목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NPU를 중심으로 온디바이스AI 생태계 안의 리더를 선별해 투자합니다. 온디바이스AI 생태계는 크게 AI모델을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 NPU 관련 기업, 디바이스 제조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의 플랫폼 기업은 AI가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인 소형언어모델(sLLM)을 두고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어요.


퀄컴, 인텔, 미디어텍, 애플, ARM 등은 AI 연산에 필요한 맞춤형 반도체 칩인 NPU 분야의 리더들 입니다. 마지막으로 애플, 삼성전자 등의 디바이스 기업은 온디바이스AI를 구현하는 스마트폰, PC, VR,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을 생산합니다. 디바이스에서 AI 서비스가 원활하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각 분야가 골고루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이미지는 온디바이스AI 생태계 내 차세대 AI 리더 기업들을 보여주는 투자 포인트를 설명하고 있다. AI모델 플랫폼, NPU 팹리스, 디바이스 제조로 이어지는 온디바이스AI 생태계를 구성요소별로 나누어 주요 기업들을 소개한다. 클라우드AI와 온디바이스AI를 비교하여, AI 모델에서는 LLM과 sLLM을, 프로세서에서는 GPU와 NPU를 대비시킨다. 온디바이스AI 부문에서 AI 모델(sLLM) 기업으로 Microsoft, Meta, Google을, NPU 기업으로 Apple, Qualcomm, MediaTek, Intel을 제시한다. IP 부문에서는 ARM, Synopsys, Cadence를 언급한다. 디바이스 측면에서는 Phone, PC, VR, Tablet, Watch 등 다양한 기기에 Apple과 Samsung이 주요 기업으로 나타난다.

특히 주목할 분야는 'NPU' 밸류체인과 AI 모델    

온디바이스AI 생태계에서 특히 주목할 분야는 NPU 밸류체인과 AI모델입니다.

NPU는 탑재될 디바이스의 특성과 사용하는 AI모델에 최적화되어 맞춤 제작되기 때문에 밸류체인이 특히 중요한데요. 반도체 설계를 맡은 팹리스는 물론이고, 설계에 앞서 기본이 되는 회로 라이선스(IP)와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EDA) 기업, 팹리스의 설계도를 파운드리 공정에 맞게 최적화하는 디자인하우스,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파운드리까지 긴밀한 협업이 중요합니다.

엔비디아가 GPU로 클라우드 AI 시장을 장악하고 있듯이 온디바이스 AI 에선 ARM이 NPU 밸류체인에서 중점적인 역할을 하는데, 갤럭시 S24를 통해 AI 폰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한 퀄컴과 AI를 구현할 다양한 디바이스를 갖춘 애플 등 팹리스 간의 서로 성장할 수 있는 경쟁도 펼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이미지는 온디바이스 AI 밸류체인을 설명하고 있다. NPU, 디바이스, AI 모델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나누어 각 영역의 주요 기업들을 보여준다. NPU 영역에서는 팹리스 반도체 설계 기업으로 Qualcomm, MediaTek, Apple, Intel을, IP 제공 기업으로 ARM을, 파운드리 기업으로 TSMC를, EDA 기업으로 Synopsys와 Cadence를 소개한다. 디바이스 영역에서는 Phone, PC, VR, Tablet, Watch, 가전 등 다양한 기기를 나열한다. AI 모델 영역에서는 온디바이스용 생성형 모델을 제공하는 AI 플랫폼 기업으로 Meta, Microsoft, Google을 제시한다. 


AI모델의 경우 디바이스에 장착되려면 사이즈는 더 작고 성능 손실은 최소화한 소형언어모델(sLLM)이 필요한데요. 빅테크 기업들은 기존에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활용해 소형언어모델(sLLM)을 개발하고 있어요.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이-2(phi-2)’,
구글의 젬마(Gemma), 메타의 라마(LLAMA)가 주인공인데요. 빅테크들은 사용자의 기기에서 자사의 sLLM이 더 많이 채택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모델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는 NPU 밸류체인과 빅테크 AI모델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좌측에서는 협업이 중요한 NPU 밸류체인을 보여주며, ARM이 IP와 EDA를 제공하고, Qualcomm이 팹리스로 IP를 바탕으로 반도체를 설계하며, GUC가 디자인 하우스로 팹리스의 설계도를 파운드리 공정에 맞게 최적화하고, TSMC가 파운드리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측에서는 오픈 소스로 공개된 빅테크 기업들의 AI모델을 보여준다. Microsoft, Google, Meta 등 주요 기업들의 LLM(대규모 언어 모델)과 sLLM(소형 언어 모델)을 나열하고 있다.


NPU의 경쟁력은 ARM으로부터?
온디바이스 AI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NPU에서도 중요한 부분이 IP입니다. IP는 반도체 회로 설계 라이선스로 설계자가 처음부터 반도체를 설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과 자원이 절약되는데요, 온디바이스 AI 시장은 누가 먼저 효율적이고 강력한 칩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는지가 중요합니다. IP 기업들 중에서도 주인공은 ARM입니다.

모바일 관련 프로세서에 있어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요, 온디바이스는 갤럭시 S24출시만 보더라도 모바일 분야에서 먼저 확장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ARM의 IP 능력이 더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I 폰의 연간 판매량은 2027년에는 600만대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Counterpoint Research, 2023년말 기준) 온디바이스 AI 시장 성장에 따른  첫 번째 수혜주로 꼽힙니다. 그래서 TIGER 글로벌 온디바이스 AI ETF는 ARM을 높은 비중으로 담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는 온디바이스 AI 시대의 핵심 기업인 ARM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좌측 그래프는 주요 산업별 ARM 기반 프로세서 점유율 변화를 2020년과 2022년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모바일 분야에서 99%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IoT, 자동차, 가전, 통신장비, 인프라,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측 그래프는 AI폰 연간 판매량 전망을 보여주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급격한 성장을 예상한다. 특히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65%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상상의 선도와 AI폰의 진입, 광범위한 이용 확산,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군 확대, 그리고 사용자 10억명 돌파 등의 단계를 거치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투자 포인트 3. AI 서비스를 통한 디바이스 혁명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AI 서비스를 통해 펼쳐지는 온디바이스AI 혁명의 최전선에 선 기업에 투자합니다.

아이폰이 출시된 후 앱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스마트폰 혁명이 일어난 것처럼, 이제는 AI 서비스를 통한 온디바이스AI 혁명이 펼쳐질 텐데요. 온디바이스AI는 개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PC 등에 탑재되는 만큼 디바이스 수요 또한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또 스마트폰뿐 아니라 PC, TV, 자율주행 등 모든 디바이스로 AI가 확산되면서, 단순한 수요 급증이 아닌 한 단계 진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실제로 최근 고성능 IP와 모바일 AP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ARM과 퀄컴은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제2의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어요.

AI 서비스를 이미 탑재한 갤럭시 S24와 애플 비전프로에 이어 아이폰16, 윈도우12 등에도 AI 서비스가 탑재될 예정이라 온디바이스AI 기업들의 실적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 이미지는 IT 산업의 주요 혁명 연대기를 보여주며, 온디바이스AI가 새로운 시장 전환의 신호임을 강조하고 있다. 1980년대 인터넷 시대부터 2024년 이후의 온디바이스AI 시대까지 IT 산업의 주요 변화를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1980년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대표되는 인터넷 시대로 정보의 전파와 확산이 특징이다. 2007년은 아이폰으로 시작된 스마트폰 시대로 모바일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2022년은 Chat GPT로 대표되는 생성형AI 시대로 교육, 의학, 예술 등 산업 혁신이 일어났다. 2024년 이후는 온디바이스AI 시대로 예상되며, 오픈소스 sLLM을 통한 AI 경험의 대중화가 특징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통해 온디바이스AI가 IT 산업의 새로운 혁명을 이끌 것임을 시사한다.

이 이미지는 인터넷부터 온디바이스AI까지의 디바이스 혁명을 보여주는 TIGER ETF의 투자 포인트를 설명하고 있다. 아이폰 출시부터 시작된 스마트폰 시대, 스마트폰 시장의 8년간 성장, 그리고 앞으로의 온디바이스AI 시대를 시간순으로 보여준다. 그래프는 2007년부터 2027년까지의 스마트폰과 AI스마트폰 출하량 예측을 나타내며, 2023년부터 AI스마트폰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주요 변화로는 아이폰 출시로 인한 현대 스마트폰 개념 정립, SNS와 다양한 앱 기반 서비스 확산으로 인한 스마트폰 대중화, 그리고 AI의 본격적인 대중화 시작과 AI서비스 탑재 시작으로 인한 온디바이스AI 개화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AI 서비스를 통한 디바이스 혁명이 진행 중임을 강조한다.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 AI ETF 포트폴리오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는 온디바이스AI 생태계의 리더, 14개 기업을 편입합니다. 국가별 비중은 미국이 84.3%로 압도적이고 나머지 15.7%는 대만입니다. 테마별로는 가장 핵심이 되는 NPU 관련 기업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개별 기업으로는 NPU 팹리스 기업인 퀄컴과 반도체 지적재산권(IP) 설계 기업인 ARM이 약 15%씩 비중을 차지하고요.

이밖에 시놉시스, 케이던스, 미디어텍 등 NPU 관련 설계 기업이 포함됩니다.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AI 언어모델 보유 기업과 TSMC 등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관련 기업이 편입됩니다. (자료_2024년 3월 15일 기준)


이 이미지는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의 구성 종목과 비중을 보여줍니다. QUALCOMM, ARM 등 주요 온디바이스 AI 종목 15개로 구성되어있으며 대부분 미국 기업으로, 일부 대만 기업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생성형AI가 교육, 의료, 예술 등의 산업에 혁신을 불러일으켰다면
온디바이스AI는 우리의 일상에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AI를 경험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의 취향과 습관, 요구에 딱 맞춘 AI 개인 비서를 얻게 되는 거죠.
온디바이스AI 시대를 이끌어 나갈 혁신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TIGER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를 놓치지 마세요.













미래에셋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4-0185호 (2024.04.05~2025.04.04)

이 이미지는 글로벌온디바이스AI 상품의 상품 개요를 보여줍니다. 종목코드는 480310, 위험 등급은 2등급 높은 위험이며 총보수는 0.49% 입니다.


□ 리스크관리 및 투자위험
이 이미지는 주요 투자 위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집중 투자에 따른 위험, 추적오차 위험, 원본손실 위험 및 환율 변동 위험에 대해 설명합니다.

해당 투자위험은 전체 목록 중 일부를 나열한 것으로 고유위험 등 자세한 내용은 투자설명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ompliance Notice
-    투자자는 해당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변동, 환율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은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TIGER ETF에 투자하기 전, 투자자 또는 잠재적인 투자자는 그러한 투자가 자신의 특정한 투자 요구나 목적 및 재무상황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해 고려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투자자문가와 상담하거나 신탁계약서 및 투자설명서를 충분히 숙지하여 판단하여야 합니다.
-    펀드 가입을 결정하기 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    시장, 정치 및 경제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본 자료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제작하였으며, 본 자료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당사의 승인 없이 복제되어 유통될 수 없습니다.
-    과세기준 및 과세 방법의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연금저축 계약기간 만료 전 중도 해지하거나 계약 기간 종료 후 연금이외의 형태로 수령하는 경우 세액공제받은 납입원금 및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16.5%)세율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개월 수익률 추이

    ETF 상품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콘텐츠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본 상품 및 콘텐츠의 경우 각 최대 10개까지만 보관되며 이후 순차적으로 삭제됩니다.

즐겨찾는 상품
로그인하여 즐겨찾는 상품의
운용 정보(운용보고서/분배금 지급 내역 등)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마케팅 수신 동의자에 한함
즐겨찾기
즐겨찾는 상품의 경우 최대 10개까지만 설정 가능합니다.
0
즐겨찾는 콘텐츠의 경우 최대 10개까지만 설정 가능합니다.
0
Mirae Asset Global ETF
미래에셋자산운용 홈페이지

미래에셋자산운용
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연금개인연금
퇴직연금퇴직연금